이번엔 새로 C#에 대해 다루어볼 것이다.
C++과 C#은 서로 공통점도 많고, 사용하는 문법의 형식도 완전히 같은 경우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이번엔 입출력과 관련한 부분 중 서로 다른 부분들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먼저 기존에 입력과 출력을 위해 사용했던 std 네임스페이스는 사용하지 않고, Console이라는 클래스를 사용한다.
using System;
namespace Favor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Console.WriteLine(a);
Console.Write("hello");
Console.Write("world");
// 출력값 : 10
// hello world
}
}
}
Console클래스에는 문자열을 출력해주는 Write와 WriteLine이 있다.
WriteLine은 소괄호 안의 문자열 혹은 변수의 값을 문자열로 출력하고, 개행해주는 함수이다.
개행은 쉽게말해 엔터, 다음 줄로 넘기는 것이다. 그래서 hello world와 a의 값 10이 두 줄에 나뉘어 출력되었다.
Write는 출력 후에도 개행하지 않는다. 그래서 위에 hello와 world를 두 줄에 걸쳐 작성했음에도
출력값으로는 붙어서 출력되었다.
또, C#에서는 문자열 안에 변수의 값을 넣어줄 수 있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using System;
namespace Favor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4;
float pi = 3.14;
Console.WriteLine("a의 값 : {0}, pi의 값 : {1}", a, pi);
//출력값 : a의 값 : 14, pi의 값 : 3.14
}
}
}
먼저, 문자열 안에 중괄호를 삽입하고, 그 중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 순서를 나타낸다.
{0}이 첫째, {1}이 두번째다. 그 후, 문자열 작성을 마친 후에 콤마를 찍어준다.
콤마 뒤에 순서대로 중괄호에 해당하는 변수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위에서는 {0}에 a의 값을, {1}에 pi의 값을 넣어주기 위해 a와 pi를 순서대로 입력했다.
그러면 문자열 안에 변수의 값이 문자열로 치환되어 삽입되고, 그의 결과는 위 코드의 출력값으로 나타난다.
문자열에 변수의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 하나 더 있다. 이의 경우 조금 더 입력하기 쉽고 가독성도 좋은 것 같다.
'C#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 얕은 복사(Shad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0) | 2024.03.05 |
|---|---|
| 4. 생성자 (Constructor) (0) | 2024.03.04 |
| 3. foreach문 (0) | 2024.03.04 |
| 2. 배열 (0) | 2024.03.04 |
| 1. 값 형식 변수와 참조 형식 변수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