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9)
6 - 6. 삼항연산자 삼항연산자란, =, ?, : 세가지 연산자를 기준으로 총 3개의 항이 존재하는 연산을 담당하는 연산자로, ? 연산자 앞의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확인하고, 참일 경우엔 : 연산자의 좌항의 값을, 거짓일 경우엔 : 연산자의 우항의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include int main() { int num1 = 2; int num2 = 3; int res1; int res2; res1 = (num1 > num2) ? num1 : num2; std::cout
6 - 4. 비교연산자 ( <, >, <=, >=, !=, ==) 비교연산자는 피연산자 둘을 비교하여 그 값이 맞으면 참(true, 1)을, 틀리다면 거짓(false, 0)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include int main() { int num1 = 1; int num2 = 2; std::cout num2;// 0 std::cout
6 - 5. 논리연산자 ( &&, ||, !) 논리연산자는 피연산자 둘의 참, 거짓 조건을 비교하여 그 값을 참과 거짓으로만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연산자는 and연산자 라고도 불리며, 피연산자의 조건이 모두 참일 경우에만 참을,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한다. ||연산자는 or연산자 라고도 불리며, 피연산자의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일 경우에는 참을,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한다. ! 연산자는 부정연산자라고도 불리며, 피연산자가 참일 경우 거짓을, 거짓일 경우 참을 반환한다. #include int main() { int num1 = 2; int num2 = 5; int result0 = (num1 > num2);// 2는 5보다 크지 않으므로 거짓 int result1 = (num1 != num2);// 2와 5는 서로 다르므로 참 std::cout
6 - 3. 복합대입연산자(+=, -=, *=, /=, %=) 복합대입연산자는 복합대입연산자의 대입연산자 앞에있는 산술연산자의 산술연산을 (+=이라면 =앞에있는 +연산을) 좌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값에서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자이다. #include int main() { int num1 = 5; int num2 = 3; num1 += num2; std::cout
6 - 2. 증감연산자 (++, --) 증감연산자는 피연산자의 앞, 혹은 뒤에 위치하여 피연산자의 값을 1씩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 #include int main() { int num = 3; num++;// num변수의 값 3에 1을 증가함 std::cout
6 - 1. 산술연산자 (+, -, *, /, %) C언어에는 연산을 담당하는 연산자가 많이 존재하는데 6장에서는 이 연산자들을 다룰 것이다. 많은 연산자 중 산술을 수행하는 연산자가 존재하는데, 이번에는 산술연산자중 사칙연산과 모듈러 연산자에 대해 다룰 것이다. #include int main() { int num1 = 9; int num2 = 3; std::cout
5. std::cout과 std::cin (C++의 입출력) C에서는 printf 함수와 scanf함수를 통해서 입출력을 관리했다. 그러나 C++에서는 std 클래스를 통해 입출력을 관리한다. #include int main() { std::cout > num; std::cout
4. 자료형 (Data Type) 프로그램의 데이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를 데이터 타입이라고 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변수, 함수등을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데, 필요한 양 만큼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정해진 공간만큼 메모리에게 빌려달라고 미리 알려주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3. 변수(Variable)에서 다룬 적이 있었다. 자료형은 크게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나뉘어진다. 위와 같이 저장하고 싶은 자료에 따라서 자료형이 정해져 있으며, 해당 자료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공간도 자료형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료형은 각각 다른 크기를 갖고있다. 컴퓨터는 0과 1을 구분하는 bit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하고 처리한다. 이 bit가 8개 모여서 2의 8제곱만큼의 수를 표현할 수 있는 단위가 byte이다. 최소단위인 byt..